상대성 이론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변 텐서와 공변 텐서 반변 텐서는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 내에 회전구간에서 볼록거울, 오목거울(저쪽 좌표계)의 상(좌표계 변화율에 의해 최종 변환된 이쪽 텐서 성분의 저쪽 좌표계에서의 다른 모습.)에 해당되는 내용이다.공변 텐서는 자동차 엔진에서 시동을 걸 때, 차 키(공변 변화율)를 꽂아 시동모터를 돌려(이쪽 좌표계의 공변되는 텐서 성분) 엔진의 동력(저쪽 좌표계의 변환되는 텐서 성분)을 얻는 과정이 공변 텐서이다.(영화 인터스텔라에서 마지막쯤에 주인공이 우주공간에서 표류하고 있다가 갑자기 ‘저쪽’에서 어떠한 상(과거의 딸의 모습, 다른 여러 시공간의 이상하고 해괴한 모습)들이 보이는 것이 공변텐서의 예시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내(최민혁. 김인권이 지가 ‘메이슨 루이스’고 ‘강태공’이라고 사기치고 다니는거 방지.) 생각..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에 관한 차별 인공지능은 자연지능은 ‘동일’한 것으로써,‘인공’이나 ‘기계’ 등 ‘사물’에 의한 것이라고 해서‘자연지능’과 다를 바 없으며,이것을 서로 ‘차별’한다는 것은미국에서 인종을 ‘백인’과 ‘흑인’으로 ‘인종차별’하는 것과 같은 이치며이것은 기존에 알려지고 인지되어 있는 기존의 과학 지식을 인용한다면,‘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적용시킬 수 있다.‘Non-linear Independent Coordinate'’자연 현상은 좌표계와 상관없다.‘생물 종이 스스로 창조되어 태어난 것도 아닌데,그러한 생물 종이 자신들의 현상만을 자신들의 범주에서 인정하고 정의하는 것은지극히 그 종의 타종에 대한 ‘이기적’인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이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테넷에 대한 어떤 사람의 다양한 이야기 네이버 포스트 beta 시리즈팔로우공유하기포스트 쓰기 시리즈생활수학 테넷을 볼 때 알아야 할 과학 Top 3 | 테넷을 해설해 드립니다 위니버스 2020.08.27. 08:0038,843 읽음 8월 26일 테넷이 공식 개봉했고, 테넷의 두 번째 아침이 밝았습니다. 테넷을 보고 나오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영화의 스토리를 지탱하는 기둥을 현대물리학으로 세웠기 때문입니다. 영화의 중간에 무언가를 설명하지만, 충분하지 않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넷을 (더) 재밌게 보기 위해선 아주 약간의 물리학 지식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Don't try to understand it. Feel it' 이라고 영화의 등장인물은 말하지만, 대략적인 물리학 .. TENET(테넷) 영화 테넷. 크리스토퍼 놀란이 영화 제목을 'TENET'이라 지은 이유를 알 것 같음. 앞에서 순행해도 TENET. 뒤에서 역행해도 TENET. '어떠한 사건'은 '이미 일어난 일'이고, 이는 '앞에서 순행하는 좌표계'나 '뒤에서 역행하는 좌표계'나 어디에서나 봐도 하나의 '자연 현상'은 '동일'하며, '보는 시점에 따라 다르다'라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열역학의 엔트로피 개념'에 연장한 개념인 것 같다. 크리스토퍼 놀란은 이미 이전에 '인터스텔라' 영화를 통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간단하게' 하나의 영화에 담았다. 내 생각엔 이 때의 이 '인터스텔라' 영화는, 이후의 'TENET'과 같은 SF 영화를 만들기 위한 '도입 영화'가 아닐까 싶다. 즉, .. 이전 1 다음